[기업분석] "현대자동차" 재무제표 읽기
안녕하세요:)
현대자동차 재무제표로 읽어보는 기업분석 정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기업분석에 들어가기 앞서 관련기사 먼저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현대차그룹 수익성, 글로벌 '톱5' 중 1위
아시아투데이 강태윤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상반기 글로벌 완성차 업체 '톱5' 중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을 달성했다. 또한 영업이익에서는 토요타그룹·폭스바겐그룹에 이어 3위를
im.newspic.kr
1. 회사개요
1) 사업개요
- 현대자동차는 2023년 약 422만대의 판매 실적을 바탕으로 연결기준 차량부문에서 약 130조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2023년에는 글로벌 공급 차질이 정상화 기조를 보이며 완성차 생산 차질이 완화되고 견조한 대기 수요에 대응하며 전년 대비 판매가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8% 증가, 영업이익은 연결조정 포함하여 전년 대비 71.3% 증가하였습니다.
- 당사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중ㆍ장기 전략으로서 품질 기반 SMART 가치를 제공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의 전환을 목표로, 3대 사업구조 및 전략방향을 수립하였습니다. 3대 사업구조의 첫번째는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로 완성차 사업 경쟁력 제고 및 전동화 선도를 통해 수익성과 판매 간의 균형 있는 성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로 차량 판매를 지원하고 사업 역량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H2 솔루션'으로 수소 생태계 및 이니셔티브 확보를 통해 연료전지 기반 수소 시장을 선점하고자 합니다.
- 당사는 경쟁이 심화되는 어려운 상황에서 상품 개발, 가격 정책과 서비스를 통해서 고객 만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GV80과 The All-new G80을 통해 제네시스 라인업을 강화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가 적용된 아이오닉5 출시 이후 Electrified G80과 제네시스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 적용된 GV60를 런칭하는 등 친환경차 개발 및 판매를 주도하였습니다. 2022년에는 그랜저 7세대 등이 출시되었으며, 2023년에는 신형 싼타페 등이 출시되었습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가 선정한 '2023 올해의 차'에 그랜저 하이브리드가 선정되며 우수한 상품성을 입증하였습니다.
2) 주요제품
① 그랜저
- 고급스러우면서도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그랜저만의 압도적인 클래스를 표현했습니다.
② 싼타페
- 견고한 디자인에 미래 지향적인 디자인을 더해 싼타페만의 압도적인 존재감을 전달합니다.
2. 손익계산서
1) 연도별현황
2019년~2023년 5개년 손익계산서입니다. 현대자동차는 2023년에는 볼륨차종의 공급 확대 및 신형 싼타페/그랜저 출시 등을 통한 신차 효과로 판매 확대를 추진하였습니다. 유럽 시장에서는 독일 정부의 보조금 중단 및 경쟁사 판촉 강화에도 불구하고, 국가별 최적화된 판매 전략 실행 통한 역대 최고 수준 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인도 시장에서는 고수요/고수익 차종 중심의 전략적 모델 믹스 조정 등을 통한 판매 최대화를 추진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파리기후변화협약의 방향성과 목표를 적극 지지하며, 전 지구적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재생에너지로 전환 및 고효율 모터, 인버터 적용 등 생산 공정의 에너지 효율화, 수소 에너지 등을 활용해 2045년까지 사업장 탄소중립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매출액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매출원가율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이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당기순이익도 2023년에 8.0%를 달성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 손익평가
ⓐ 매출성장률: 전년도 대비 당해연도에 매출액이 얼마나 증가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 매출성장률은 높을수록 좋은 지표이며, 동종업계 대비 낮은 매출성장률을 보여줌
ⓑ 영업이익률: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 의한 성과를 나타내는 비율
→ 영업이익률은 높을수록 좋은 지표이며, 동종업계 대비 낮은 영업이익률을 보여줌
ⓒ 당기순이익률: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수익/비용, 법인세까지 차감한 최종 회사의 순이익
→ 당기순이익률은 높을수록 좋은 지표미여, 동종업계 대비 비슷한 당기순이익률을 보여줌
* 동종업계는 시가총액기준으로 비슷한 수준의 1개사(기아자동차)를 선정하여 산출함
3. 재무상태표
1) 연도별현황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 현재 기업의 자금조달 및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로 정보이용자들에게 기업의 유동성, 재무적 탄력성, 수익성과 위험 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재무상태표는 회계의 가장 기본적인 등식인 "자산=부채+자본"의 형식을 반드시 갖추고 있습니다.
자산: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가져올 수 있는 현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유형, 무형의 자원을 의미
부채: 출자자 이외의 제3자로부터 빌린 자금으로 향후 자원 유출이 예상되는 경제적 의무를 의미(=타인자본)
자본: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으로 순수하게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의미(=자기자본)
2) 재무평가
ⓐ 부채비율: 기업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부채÷자본)
→ 일반적인 표준비율 100% 이하이면 좋은 지표로, 177.4%로 안좋은 부채비율을 보여줌
ⓑ 유동비율: 회사의 지불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유동자산÷유동부채)
→ 일반적인 표준비율 200% 이상이면 좋은 지표로, 79.9%로 안좋은 유동비율을 보여줌
ⓒ 차입금의존율: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에 얼마나 의존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차입금÷자산)
→ 일반적인 표준비율 30% 이하이면 좋은 지표로, 9.4%로 좋은 차입금의존율을 보여줌
* 표준비율은 일반적인 평가기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업종별/기업별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한 절대적인 기준값은 아님
4. 현금흐름표
1) 연도별현황
현금흐름표은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에 다루지 않는 실질적인 현금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다루는 보고서로, 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과 현금흐름표상의 현금흐름은 동일하지 않습니다.
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의 거래들이 대부분 외상거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익이 발생했다고 하여 반드시 현금유입이 있는 것이 아니고 비용이 발생했다고 하여 반드시 현금유출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손익계산서상의 매출/매입의 흐름만큼 실제로 이익이 얼마나 현금화가 잘되는지 볼 수 있는 것이 현금흐름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Ⅰ. 영업활동: 기업이 제품의 제조·판매 등 주요 활동을 하면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입·유출을 의미
→ 영업활동은 (+)인 것이 이상적인 지표로, (-)25,187억원으로 안좋은 현금흐름을 보여줌
Ⅱ. 투자활동: 기업이 투자목적 운영자산 및 영업에 사용되는 유형자산 등의 취득/처분 관련 현금의 유입·유출을 의미
→ 투자활동은 (-)인 것이 이상적인 지표로, (-)86,494억원으로 정상적인 현금흐름을 보여줌
Ⅲ. 재무활동: 기업이 자본을 조달하고 상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입·유출을 의미
→ 재무활동은 (-)인 것이 이상적인 지표로, (+)93,934억원으로 차입금 조달이 많은 현금흐름을 보여줌
이상으로 현대자동차 관련 회사개요/손익계산서/재무상태표/현금흐름표를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삼성SDI" 재무제표 읽기(2023년기준) (1) | 2024.08.04 |
---|---|
[기업분석]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재무제표 읽기(2023년기준) (1) | 2024.07.31 |
[기업분석] "현대로템" 재무제표 읽기(2023년기준) (0) | 2024.07.28 |
[기업분석] "SK하이닉스" 재무제표 읽기(2023년기준) (0) | 2024.07.28 |
[기업분석] "두산에너빌리티" 재무제표 읽기(2023년기준) (1)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