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 "삼성SDI" 재무제표 읽기
안녕하세요:)
삼성SDI 재무제표로 읽어보는 기업분석 정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기업분석에 들어가기 앞서 관련기사 먼저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삼성SDI, 역사적 저평가…전고체 배터리 기술 주목
삼성SDI 기흥본사. ⓒ 삼성SDI [프라임경제] SK증권은 31일 삼성SDI(006400)에 대해 역사적 저평가 구간에 위치하고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삼성SDI의
im.newspic.kr
1. 회사개요
1) 사업개요
- 삼성SDI는 중ㆍ대형전지, 소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으로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용량, 고출력 기술 확보를 통해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완성업체에 공급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의 연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강화, 자동차 회사들의 다양한 전기차 모델 출시, 전기차의 주행거리 및 경제성 개선으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전력저장장치(ESS)용 대형전지는 국내 및 해외 국가들의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정책 영향으로 높은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전자재료 사업부문으로 반도체 소재는 반도체 업체들의 증설과 생산량 확대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IT 시황 악화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반도체 수요 확대에 따라 관련 소재의 수요도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스플레이 소재는 LCD 패널과 OLED 패널 수요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LCD 패널 성장성은 과거 대비 둔화되는 추세이나, OLED는 IT/모바일과 TV에서의 패널 채용이 증가하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2) 주요제품
① 전기자동차 배터리
- 전기로만 구동하는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는 유일한 에너지원으로서 주행거리, 출력, 충전 속도 등 전기자동차의 가장 중요한 성능들을 결정합니다. 엔진과 배터리가 함께 탑재되는 PHEV에는 제한적인 공간에 고용량·고효율 배터리를 탑재하여 주행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② ESS(Energy Storage System)
-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전기를 저장하고 가장 필요한 시기에 공급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삼성SDI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과 연계한 전력/상업용 ESS, 데이터 센터 등 주요 시설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대비하는 UPS(무정전 전원공급장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ESS에 필요한 배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손익계산서
1) 연도별현황
2019년~2023년 5개년 손익계산서입니다. 삼성SDI의 주요 매출처로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Bayerische Motoren Werke("BMW"), Volkswagen ("VW"), STELLANTIS, Stanley Black & Decker ("SB&D"), BOE,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SOT") 등 입니다.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각국 정부의 연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강화, 자동차 회사
들의 다양한 전기차 모델 출시, 전기차의 주행거리 및 경제성 개선으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전력저장장치인 ESS용 대형전지는 국내 및 해외 국가들의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정책 영향으로 높은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매출액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매출원가율은 적정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당기순이익은 2023년에 9.1%를 달성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 손익평가
ⓐ 매출성장률: 전년도 대비 당해연도에 매출액이 얼마나 증가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 매출성장률은 높을수록 좋은 지표이며, 동종업계 대비 비슷한 매출성장률을 보여줌
ⓑ 영업이익률: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 의한 성과를 나타내는 비율
→ 영업이익률은 높을수록 좋은 지표이며, 동종업계 대비 높은 영업이익률을 보여줌
ⓒ 당기순이익률: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수익/비용, 법인세까지 차감한 최종 회사의 순이익
→ 당기순이익률은 높을수록 좋은 지표미여, 동종업계 대비 높은 당기순이익률을 보여줌
* 동종업계는 시가총액기준으로 비슷한 수준의 15개사를 선정하여 산출함(당사미포함)
3. 재무상태표
1) 연도별현황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 현재 기업의 자금조달 및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로 정보이용자들에게 기업의 유동성, 재무적 탄력성, 수익성과 위험 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재무상태표는 회계의 가장 기본적인 등식인 "자산=부채+자본"의 형식을 반드시 갖추고 있습니다.
자산: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가져올 수 있는 현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유형, 무형의 자원을 의미
부채: 출자자 이외의 제3자로부터 빌린 자금으로 향후 자원 유출이 예상되는 경제적 의무를 의미(=타인자본)
자본: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으로 순수하게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의미(=자기자본)
2) 재무평가
ⓐ 부채비율: 기업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부채÷자본)
→ 일반적인 표준비율 100% 이하이면 좋은 지표로, 71.0%로 좋은 부채비율을 보여줌
ⓑ 유동비율: 회사의 지불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유동자산÷유동부채)
→ 일반적인 표준비율 200% 이상이면 좋은 지표로, 107.8%로 안좋은 유동비율을 보여줌
ⓒ 차입금의존율: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에 얼마나 의존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차입금÷자산)
→ 일반적인 표준비율 30% 이하이면 좋은 지표로, 15.1%로 좋은 차입금의존율을 보여줌
* 표준비율은 일반적인 평가기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업종별/기업별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한 절대적인 기준값은 아님
4. 현금흐름표
1) 연도별현황
현금흐름표은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에 다루지 않는 실질적인 현금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다루는 보고서로, 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과 현금흐름표상의 현금흐름은 동일하지 않습니다.
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의 거래들이 대부분 외상거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익이 발생했다고 하여 반드시 현금유입이 있는 것이 아니고 비용이 발생했다고 하여 반드시 현금유출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손익계산서상의 매출/매입의 흐름만큼 실제로 이익이 얼마나 현금화가 잘되는지 볼 수 있는 것이 현금흐름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Ⅰ. 영업활동: 기업이 제품의 제조·판매 등 주요 활동을 하면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입·유출을 의미
→ 영업활동은 (+)인 것이 이상적인 지표로, (+)21,035억원으로 정상적인 현금흐름을 보여줌
Ⅱ. 투자활동: 기업이 투자목적 운영자산 및 영업에 사용되는 유형자산 등의 취득/처분 관련 현금의 유입·유출을 의미
→ 투자활동은 (-)인 것이 이상적인 지표로, (-)41,049억원으로 정상적인 현금흐름을 보여줌
Ⅲ. 재무활동: 기업이 자본을 조달하고 상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입·유출을 의미
→ 재무활동은 (-)인 것이 이상적인 지표로, (+)9,027억원으로 차입금 조달이 많은 현금흐름을 보여줌
이상으로 삼성SDI 관련 회사개요/손익계산서/재무상태표/현금흐름표를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현대자동차" 재무제표 읽기(2023년기준) (0) | 2024.08.04 |
---|---|
[기업분석]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재무제표 읽기(2023년기준) (1) | 2024.07.31 |
[기업분석] "현대로템" 재무제표 읽기(2023년기준) (0) | 2024.07.28 |
[기업분석] "SK하이닉스" 재무제표 읽기(2023년기준) (0) | 2024.07.28 |
[기업분석] "두산에너빌리티" 재무제표 읽기(2023년기준) (1) | 2024.07.28 |